|
[증상]항암 부작용 증상, 고혈압 (혈압 상승)
BY
암키퍼24
2023-06-12 15:10:05
1) 정의 항암치료 중에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90 mmHg 이상 측정 되는 경우로 정의합니다.
2) 특징 - 항암치료제들 중에는 혈압을 상승시키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는 약제가 있습니다. 베바시주맙, 파조파닙, 소라페닙, 반데타닙과 같은 종양 혈관 억제제들이 대표적입니다. 본 인이 치료 받고 있는 약제를 확인해 보세요.
- 그 외의 고혈압 발생의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. • 고령. • 평소에 고혈압이 있거나 심혈관계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. • 평소에 신장(콩팥)기능저하, 갑상선 기능 항진증, 쿠싱증후군. • 두개골 내 압력 증가, 항암치료로 인한 저마그네슘혈증.
- 일부 항우울제들도 혈압 상승의 위험성이 있습니다.
3) 평가 - 혈압 측정하기 전 최소 5분 이상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앉아서 안정을 취한 후에 측정 을 시작합니다. 이때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(예, 커피, 커피우유, 녹차, 홍차, 박카스 등)를 마셨거나 흡연을 하신 분은 최소 30분 이상 경과한 후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 - 혈압을 측정한 후에는 자신의 혈압측정 결과에 대하여 구체적인 수치를 확인하세요. 혈압측정 결과는 반드시 기록하여 자신의 혈압조절상태를 파악하는데 활용 하셔야 합니다.
4) 관리 기준 (1) 경한 단계 (1단계) - 수축기 120-139 mmHg, 이완기 80-89 mmHg. (2) 중한 단계 (2단계) - 수축기 140-159 mmHg, 이완기 90-99 mmHg. (3) 심한 단계 (3단계) - 수축기 160 mmHg 이상, 이완기 100 mmHg 이상.
- 갑작스런 기억력 감퇴, 의식상실, 시력장애, 지속되는 두통, 불분명한 발음, 사지 감각 저하 및 얼얼함 등의 이상증상이 있을 경우는 즉시 병원이나 응급실로 내원합니다.
- 중등증 이상의 고혈압의 환자에게는 항고혈압제를 처방합니다.
- 고혈압 약을 복용할 때에는 기립성 저혈압, 어지러움, 오심, 낙상의 위험이 있으니 주의 가 필요합니다.
- 본인이 투여 받고 있는 약제에 대한 잠재적인 부작용을 파악하고 혈압이 변화할 때는 의료진에게 보고합니다. 예를 들어서 프로카바진이라는 항암제를 복용 시에는 고혈압 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때로는 티라민 성분 [치즈 종류(블루치즈, 체다치즈, 모짜렐라치즈, 파르메산치즈, 스위스치즈), 요구르트, 와인, 맥주, 동물의 간, 소시지]를 제한하는 식이가 필요할 경우가 있습니다
출처: [항암부작용증상관리지침] 대한종양간호학회, 대한항암요법연구회 발행
전체게시글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