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[치료]암재발 방지를 위한 이뮤노시아닌(이뮤코텔 주사제) 치료
BY
암키퍼24
2023-06-02 22:45:17
이뮤노시아닌(이뮤코텔 주사제) 치료
이뮤노시아닌(이뮤코텔 주사제)란?
이뮤노시아닌은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채취한 구멍 삿갓 조개(Keyhole Limpet Snail)의 혈액에 함유된
헤모시아닌(KLH)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만든 약제이다.
KLH는 암세포의 표면에서 발현하여 암 세포를 찾지 못하게 하는 CD176(Thomsen -Friedenreich antigen)과
유사한 형태를 갖는 물질로 KLH에 대한 항체는 CD176을 공격하여 면역 세포가 암 세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면역 항암제와 유사한 작용을 한다.
*부작용미열이 가끔 발생 , 압박감,통증이 있을수 있고, 알러지 반응으로 무균성 leukocyturia와 같은 방광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. 알러지성 부종이 발생할수 있다.
|
1960-1970년 |
KLH가 세포성 면역자극 물질로 발견, 인체에서 사용되기 시작 |
1974년 |
올슨(Olssen) 등이 비뇨기과 저널(Journal of Urology)에 200mcg로 선감작 후 5mg 투여한 후 재발이 현저히 감소(59%)된 결과 발표 |
1977년 |
K. F. Klippel 은 마인츠에 있는 대학병원의 비뇨기과에서 KLH를 사용하여 최초 임상 실험 시행 |
1983년 |
D. J. Lamm(미국 애리조나주 스코츠데일 소재)이 임상 전 시험을 하여 KLH가 효과적임을 입증 |
1984년 |
유럽 최초 생물공학회사 biosyn을 창립하여 KLH 생산법을 개발하고 약리학적 및 독성학적 검사 KLH에 관한 2상, 3상 연구 |
1988년 |
첼레(celle)에 있는 종합병원의 비뇨기과 및 병리과에서 “방광암에서 구멍삿갓조개 헤모시아닌을 사용한 면역요법: 무작위 연구” 논문 발표(Journal of Urology(Vol. 139:723-726, 1988) KLH로 치료하면 국소적으로나 전신적으로 부작용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 밝힘 |
1993년 |
이뮤노시아닌에 대한 “Drug master file”이 완성되어 FDA에 제출 |
1994년 |
KLH를 “암백신 운반체”로 개발하기 위하여 미국에 비오신 지사가 설립 |
1997년 |
네델란드 이뮤코텔 의약품 등록 |
1999년 |
암스테르담에서 이뮤코텔 학술대회 개최(Eur Urol 37, Suppl. 3, 2000) |
2001년 |
오스트리아 이뮤코텔 의약품 등록 한국 KFDA 이뮤코텔 의약품 등록 |
2002년 |
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독일 암 학술대회에서 이뮤코텔에 대한 내용 다룸(J Cancer Res Clin Oncel 127, Suppl. 2, 2001) |
댓글 0 개 | 보기 |
번호 | 제목 | 작성자 | 등록일 |
|
|
|
|
|
|
|
|
|
|
<< 이전 1 |